9일 방송된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이하 '꼬꼬무')에서는 '마지막 여름캠프 : 씨랜드 화재 참사'라는 부제로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할 그날의 이야기가 공개됐다.
1999년 6월 29일, 7살 세라가 다니는 유치원은 1박 2일 일정으로 서해안의 한 수련원으로 여름캠프를 떠났다.
세라가 집에 없는 것만 빼면 평소와 다를 것 없는 하루가 지나고 다음 날 새벽 갑자기 세라의 아빠는 처제의 전화 연락을 받았다. 다급하게 빨리 TV를 켜라는 처제의 이야기. 그리고 처제는 더 이상 말을 잇지 못하고 오열했다.
바로 TV를 켜자 뉴스 속보가 흘러나왔다. 경기도 화성군에 있는 청소년 수련원인 씨랜드 수련원에 불이 났다는 소식. 당시 인기가 많던 수련원인 이곳은 다름 아닌 세라가 캠프를 떠난 곳.
당시 씨랜드에서 자고 있던 사람들은 세라의 소망유치원을 포함해 총 550명. 그중 무려 500명이 유치원이나 학원에서 온 어린이들이었다.
그런 상황에 화재가 발생했던 것. 화재를 가장 먼저 감지한 것은 이날 사전 답사 차 방문한 태권도 도장의 송영규 관장님이었다. 그는 새벽 1시 집으로 돌아가려 일어섰다가 이상을 감지했다. 방문을 열고 나오니 형광등 주위에 하얀 연기가 지나갔던 것. 그리고 복도를 보니 3층 복도 전체가 이미 연기가 자욱한 상황이었다.
3층은 불길이 시작된 곳이라 2층과는 상황이 달랐다. 곳곳에서 시신이 추가로 발견된 것. 318호에서 1명, 306호에서 3명. 이들은 초등학교 교사와 씨랜드 아르바이트생으로 아이들을 구조하다 안타깝게 숨진 어른들이었다.
그리고 불길이 시작된 301호에는 아직도 화염이 가득했다. 그리고 소방관은 창문 아래쪽에 뭔가가 잔뜩 모여 있는 모습을 보고 충격을 감추지 못했다. 잿더미와 뒤엉킨 불에 탄 시신들은 몇 명인지 육안으로 확인도 되지 않았다. 이 시신은 바로 소망유치원의 7살 해님반 아이들, 세라네 반 아이들이었다.
세라의 아빠는 사망자 명단에서 딸의 이름을 확인하고 믿을 수 없었다. 그는 "아이가 다쳤어도 살아만 있어라 하는 마음이었다. 이건 현실이 아닐 거라고 생각했다"라며 믿을 수 없는 현실에 괴로워했다.
그러나 세라 아빠는 세라를 다시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에 괴로움을 무릅쓰고 세라의 시신을 확인하기로 했다. 그리고 그는 단번에 세라를 알아봤다. 시신의 다리 한쪽에 세일러문 잠옷이 타다 남아있었던 것.
301호의 사망자는 총 18명, 소망 유치원 해님반 아이들은 전원 사망했다. 이 사실에 부모들 만큼이나 괴로워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바로 송영규 관장이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었다. 301호에서 발견된 시신 중 어른은 없었던 것. 분명 6, 7세 아이들은 인솔 교사가 함께 해야 함에도 301호에서 괴로움 속에 죽어간 아이들 곁에는 선생님이 없었던 것이다. 302호의 아이들을 구조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그렇다면 소망유치원 선생님들은 어디서 뭘 하고 있었을까. 당시 소망유치원 원장은 314호에서 선생님들끼리 협의 시간을 가졌다고 했다. 그리고 수시로 가서 아이들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314호는 301호 바로 맞은편 방. 그런데 화재가 난 것을 모르고 아이들을 구조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믿기 어려웠다.
이에 전문가들도 모든 조건을 똑같이 맞춰놓고 실험을 진행했다. 그러나 모기향 불로 화재가 일어난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여러 가능성이 있기에 실험 결과로 단정할 수는 없지만 당시 목격담을 통해 전기적인 문제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하는 합리적 의심이 생겼다. 그러나 이에 대한 수사는 진행되지 않았다.
씨랜드 원장은 이 같은 구조에 대해 돈을 아끼기 위함이라고 밝혀 더욱 분노를 자아냈다. 콘크리트와 철근을 제대로 쓰면 방 하나에 1천500만 원이 드는데 컨테이너로 올리면 210만 원으로 비용이 7배 차이였던 것. 전기 설비는 무허가 업자에 맡겨 모든 것이 엉망이고 소방시설도 마찬가지였다. 소화기는 애초에 불량이었고 경보기는 애들이 장난칠까 봐 스위치를 껐다고 밝혀 타블로와 장현성의 분노를 자아냈다.
유족 중 도현이의 엄마는 체육훈장 맹호장을 수상한 전 국가대표 필드하키 선수 김순덕 씨. 그는 도현이를 잃고 "정부가 저희 애들한테 대처하는 것을 보고 사실 쓰레기 같다는 생각을 했다"라며 자신의 훈장을 반납했다. 그제야 총리와의 면담이 성사됐다.
사고 발생 50일 후 성사된 총리 면담. 당시 총리는 재수사를 약속했으나 그때뿐 추가 수사는 없었다. 그리고 씨랜드 참사 4개월 후 인천 인현동 화재사고로 55명이 사망하고 79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희생된 이들의 대부분이 중고등학생인 이 사고의 원인과 과정은 씨랜드 참사와 판박이였다.
결국 대한민국을 떠난 도현이 가족. 그들은 더는 이 나라에 살고 싶지 않다고 이민을 떠났다.
이날 방송에 출연한 사고 관련자들은 정말 어렵게 용기를 냈다. 그들이 용기를 낸 이유는 단 하나였다. 전하고 싶었던 이야기가 있었기 때문.
타블로는 "아이들이 선생님을 사랑한다고 하고 믿는다고 그렇게 이야기하는데 어른들은 사실 그렇게 믿을만한 존재가 아니잖냐. 그래서 참 미안한 거 같다"라고 어른들의 자화상에 부끄러워했다.
또한 장도연은 "책임감 없는 어른들 때문에 죄 없는 아이들만 희생당한 것 아니냐. 어른으로서 미안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가슴 아파했다.
다시는 이땅에서 이런 아픔이 일어나지 않기를 기도합니다.
#꼬꼬무 #씨랜드 #백지영 #타블로 #화재사고
'연예계소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미스나인 미니4집 ‘Midnight Guest’ 음원차트 1위 | 프로미스나인 프로필, 나이,고향 (0) | 2022.01.18 |
---|---|
1억 기부한 방송인 김나영은 누구 ? (0) | 2021.12.20 |
복면가왕, 서인영 눈물, 모친상, 서인영 나이,고향,키 프로필 (0) | 2021.09.13 |
가수 '임영웅'이 공개한 다정하게 팔짱 낀 그녀는 누구일까? (0) | 2021.09.06 |
보아오빠, '권순욱' 감독 생전 연출한 작품들 (0) | 2021.09.06 |
댓글